이번 글에서는,
암호화폐 파생상품 거래소 세계 2위인
바이비트(Bybit) 거래소에서 선물 거래하는 법에 대해서 설명 드리겠습니다.
아래 배너를 타고 신규 가입을 하실 경우,
선물 거래 수수료의 20%를 할인받고 거래하실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 쓰게될 간단한 선물 용어입니다:
- 롱: 공매수, 올라간다에 베팅
- 숏: 공매도, 내려간다에 베팅
- 지정가: 가격을 지정하고 거래하는 것
- 시장가: 가격 설정을 하지 않고, 즉시 거래가 되는 주문에 가장 빨리 거래하는 것.
- 레버리지: 본인 자본금을 담보로 더욱 큰 금액을 거래하는 것
- 포지션: 선물을 거래 중인 상태, 포지션 유지 중이라고도 한다.
- 펀딩비: 포지션을 유지 중일 때, 롱/숏에 따라서 일정 부분 떼가는 수수료.
바이비트 USDT 선물 거래 시작하기
처음 선물 거래를 시작하는 사용자의 경우,
거래소에서 구분해둔 현물/선물 지갑을 구분하지 못해서 어려워 하는 분들이 계십니다.
저를 따라서 차근차근 시작하시면 됩니다.
바이비트에 코인이 입금됐다고 가정해보겠습니다.

프로필 모양에서,
금액 부분을 클릭해주세요.

Spot 이라는 곳에 USDT가 있으면 거래할 수 없기 때문에,
Derivatives로 옮겨주어야 합니다.
이때 우측 상단의 Transfer를 눌러주세요

Spot > Derivatives 방향으로 설정해준 뒤,
거래를 희망하는 금액을 옮겨주세요
이때 Spot은 현물, Derivatives는 파생상품(선물,옵션 등)을 의미합니다.

Derivatives 옆에 이렇게 금액이 들어 있으면 이제 선물 거래를 시작하실 수 있습니다.
바이비트 USDT 선물 화면 설명
아래 사진을 따라 원하는 페어를 클릭합니다
Derivatives > USDT Perpetual > BTC/USDT, ETH/USDT 등을 선택

이때의 코인 선물은, 주식처럼 마감 기한이 있는 형태가 아니라,
반 영구적인 선물입니다.
저는 테스트 삼아 ETH/USDT로 바로 가보겠습니다.

바이비트의 선물 거래 화면입니다.
왼쪽 위부터 확인 해보겠습니다.
ETH/USDT에 마우스를 갖다 대면, 다른 페어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이때 별표 표시를 해두면,
앞으로 Favorites에서 따로 검색하지 않고 선택할 수 있습니다.

펀딩비
차트 화면에서 중간 윗쪽에는
Funding Rate/Countdown이 있습니다
선물 포지션을 유지할 경우, 8시간마다 펀딩비를 롱/숏에 따라 가져가게 됩니다.
위 사진에서는 펀딩비 비율과 함께, 남은 시간에 대한 카운트 다운입니다.
이 말인 즉슨, 낮은 배율로 포지션을 오래 들고 있어도,
거래 수수료 외에 펀딩비를 유지하는 동안 계속 지불하게 된다는 의미입니다.
차트 설정
우측 상단에 보시면
Standard/Trading View/Depth 등이 있습니다.
Trading View를 누른 후, 각종 지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오더북: 호가창

바이비트의 선물 호가창입니다.
호가창의 금액을 클릭할 경우,
매수 매도 주문하기 전 자동으로 선택한 금액으로 반영됩니다.
교차/단독, 배율 설정

가장 중요한 매수 매도 화면입니다.
맨 위부터 하나씩 알아보겠습니다.
설정 하나하나 중에 중요하지 않은 것이 없기 때문에,
이 부분은 가능한 정독 하시는 걸 권장 드립니다.

위 사진에 표시된 부분을 클릭하시면,
거래 방식과 함께 레버리지 비율을 1~100배까지 설정할 수 있습니다.
10만원만 투입해도, 최대 1천만원까지 거래가 가능합니다.

- Cross: 교차 마진, 내 계정의 선물 계좌에 있는 전체 금액을 담보로 거래함.
청산 가격이 되어도 즉시 청산되지 않고, 내 계좌의 모든 금액을 계속해서 담보로 제공함. - Isolated: 단독 마진, 내가 설정한 거래 금액 만큼만 담보로 제공함.
청산 가격이 되면 해당 금액만큼만 청산됨. - Leverage(Long): 공매수를 할 때의 보증금 대비 거래 금액 배율
- Leverage(Short): 공매도를 할 때의 보증금 대비 거래 금액 배율
간혹 처음 거래하는 코인의 경우,
배율 설정 기본값이 원하는 희망 배율이 아닐 수도 있으니,
반드시 거래 전에 확인 하셔야 합니다.
거래화면

각 항목별 설명입니다:
- Open: 포지션 열기, 신규 공매수/공매도 주문을 넣기
- Close: 포지션 닫기, 기존 공매수 공매도 주문을 마감하기
- Limit: 지정가 거래하기
- Market: 시장가 거래하기
- Conditional: 조건부 거래하기
- Order Price: 공매수.공매도 희망 금액
- Order by Qty: 거래 희망 코인 개수
- 퍼센티지: 본인 담보 금액 중 투입 비중을 선택 가능함.
- Open Long: 공매수 시작
- Open Short: 공매도 시작
- Derivatives Account: 잔고
포지션 창

포지션 창에서 보이는 주요 항목별 의미입니다
- Contracts: 거래중인 페어의 이름(어떤 코인인지)
- Qty: 포지션의 개수
- Valute: 담보금액*배율 = 총 거래 금액을 의미
- Entry Price: 해당 포지션 진입 가격
- Mark Price: 시장가, 현재 가격을 의미함
- Liq.Price: 강제 청산 가격,
해당 금액까지 도달하면 본인의 의지와는 별개로 자동으로 포지션이 사라짐. - Position Magin: 해당 포지션 담보 금액
- Unrealized P&L: 예상 수익
- Realized P&L: 수수료 제외한 실현 예상 수익
- TP/SL:
Take Profit 수익 실현
Stop Loss: 손절 가격 설정 - Close By:
Limit: 지정가로 거래 마감하기, 가격 설정 후 시간 소요됨
Market: 시장가로 즉시 거래 마감하기
바이비트 선물 실전 거래

실제 거래 화면입니다.
한개 항목씩 차근차근 설정해줍니다.
- Isolated : 단독 마진임을 확인
- 배율 설정: 10 배율 확인
- Limit: 지정가 주문 확인
- Order by Qty: 보유 금액 대비 담보 설정 비율 확인
- Open Long으로 클릭하여 공매수 실현

우측 하단에 이렇게 주문이 실현됐음을 알려주며

이렇게 상세하게 포지션을 보여줍니다.
이때 빠르게 거래를 마감하려면,
우측 맨 끝에 있는 Market을 눌러주시면 됩니다.
단, Market은 시장가 거래이기 때문에 소정의 수수료가 더 나오게 됩니다.

저는 해당 포지션을 시장가로 마감하기 위해 Market Close를 해보겠습니다.
마감하고자 하는 비율을 설정한 후,
Confirm을 누르면 해당 포지션이 마감됩니다.

시장가로 거래가 마감되면서,
보유 중이던 모든 포지션이 사라집니다.
저는 위 사진들에서 공매수로 거래했지만,
Open Short만 누르게 되면 곧바로 공매도로 전환됩니다.
이상 바이비트 선물 거래하는 방법이었습니다.
선물 거래시,
레버리지 비율을 높게 설정할 수록 거래 금액만큼의 수수료가 나오기 때문에,
아래 배너의 할인링크를 통해 가입하여 수수료 할인 받는 것을 권장 드립니다.
